포스트

[JAVA] 변수

그동안 변수에 대해서 ‘그냥 변수는 변하는 값이다.’라고 생각하고 넘어갔었다.

하지만 이번에 공부하면서 확실히 알아가기로 했다.

변수(Variable)란?

정의

  •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

변수의 특징

  • ‘변수’인 값은 언제든지 다른 값으로 변경이 가능하다.
  • 뜻밖의 일로 미처 예상하지 못했을 때 “이건 변수인데?”라는 말처럼 프로그래밍 ‘변수’도 비슷한 의미를 하고 있다.

변수의 선언과 초기화

변수의 선언

  • 변수를 선언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.
1
int number;

위와 같이 선언하면 number라는 변수 이름으로 int(Integer의 약자, 정수)인 변수 타입을 선언한 것이다.

변수의 초기화

  • 변수의 선언하였다면 해당 변수를 사용할 수 있지만, 사용하기 전에 변수초기화(initialization)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  • 초기화를 왜 해야 하는가?
    •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자원이다
    • 이전에 다른 프로그램에서 저장된 Garbage Value(쓰레기값)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초기화를 해주어야 한다.
  • 그래서 변수 초기화가 뭔데?
    • 변수를 사용하기 전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
1
int number = 20;

위와 같이 코드를 입력하면 ‘number라는 변수 이름으로 int(Integer의 약자, 정수)인 변수 타입을 선언하고, 20으로 초기화’한 것이다.

변수의 사용

변수 선언과 초기화까지 알았으니, 이 변수를 어떻게 활용할까?

1
2
3
4
5
int birthYear = 2000, currentYear = 2024;

int currentAge = currentYear - birthYear;

System.out.print(currentAge);

태어난 연도와 현재연도를 변수이름을 정하여 정수로 변수타입을 선언하였다.

여기서 현재 나이를 구하려고 하려면,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면 간단하다.(한국 나이 X)

그렇다면 아래 코드처럼 계산이 될 것이다.

1
2
3
4
5
6
7
8
9
// int birthYear = 2000, currentYear = 2024;

int currentAge = currentYear - birthYear;
// currentAge를 정수로 변수 타입 선언
// int currentAge = 2024 - 2000;
// int currentAge = 24;

System.out.print(currentAge);
> 24

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뺀 값인 24가 currentAge라는 변수 이름에 저장이 될 것이고

System.out.print()로 24라는 정수값이 출력이 될 것이다.

하지만 큰 따옴표(““)를 조심해야 한다.

1
2
System.out.print("currentAge");
> currentAge

큰 따옴표 사이에 있는 값은 문자열 그대로로 출력되기 때문에 변수를 선언할 경우 큰 따옴표를 주의하자
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