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SI 7계층
OSI 7계층
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, 메시지를 보낼 때,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, 그 모든 과정은 수많은 데이터가 오가며 복잡하게 작동한다.
하지만 이 복잡한 과정을 7단계로 나눈 모델이 있다.
이것이 바로 OSI 7계층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) 이다.
그동안 OSI 7계층은 알았지만, 주요 기능에 대해 공부를 안했던 것을 생각하여 되짚어 보려고 한다.
🧱 OSI 7계층이란?
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개념적 모델이다.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협력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.
🔢 OSI 7계층 구조 요약
계층 | 이름 | 주요 기능 | 예시 |
---|---|---|---|
7 | 응용 계층 |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, 앱 제공 | HTTP, FTP, SMTP |
6 | 표현 계층 | 데이터 형식 변환, 암호화/복호화 | JPEG, MP4, SSL |
5 | 세션 계층 | 세션(연결) 관리, 동기화 | API 세션, 로그인 유지 |
4 | 전송 계층 | 데이터 전송 보장, 흐름/오류 제어 | TCP, UDP |
3 | 네트워크 계층 | 목적지 IP 주소 지정, 경로 설정 | IP, ICMP, 라우터 |
2 | 데이터 링크 계층 | 물리적 전송 오류 검출/수정, MAC 주소 | 이더넷, 스위치 |
1 | 물리 계층 | 전기적 신호로 실제 전송 | 케이블, 허브, 전파 |
🧩 각 계층별 설명
1️⃣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- 0과 1의 비트 정보를 전기 신호, 빛, 전파 등 물리적인 형태로 전송한다.
- 예시 장비: 허브, 리피터, 케이블
2️⃣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-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수정, MAC 주소에 사용된다.
- 장비: 스위치, 브리지
3️⃣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- 목적지까지의 경로 설정, 논리 주소(IP) 사용된다.
- 장비: 라우터
4️⃣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 양 끝단 간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고 흐름제어, 오류 제어를 수행한다.
-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(TCP), 빠른 전송만 필요하면 UDP
- 기능: 오류 제어, 흐름 제어, 패킷 분할/재조립
5️⃣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- 통신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, 종료 처리 역할을 한다.
- 기능: 동기화, 세션 복구
6️⃣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- 전송되는 데이터의 인코딩, 디코딩, 압축, 해제, 암호화, 복호화를 수행한다.
- 기능: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데이터 표현 방식 통일
7️⃣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, 앱 서비스 제공한다.
- 프로토콜: HTTP, FTP, SMTP 등
🚚 실제 예시로 보는 OSI 7계층
🖥 웹 브라우저로 네이버 접속하기
- 사용자가
www.naver.com
입력 → 7계층 (HTTP 요청) - 요청 데이터 압축/암호화 → 6계층
- 세션 연결 설정 → 5계층
- TCP를 이용한 안정적 전송 → 4계층
- 목적지 IP 확인 → 3계층
- MAC 주소 이용하여 이더넷 프레임 구성 → 2계층
- 데이터를 0과 1로 전송 → 1계층
✅ 마무리
OSI 7계층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,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려주는 기초 중의 기초다. 이 구조를 잘 이해하면, 네트워크 오류를 분석하거나 성능을 개선할 때 훨씬 유리하며 필수적으로 숙지하는 게 좋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